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Openlayers
- Append
- VAR
- appendChild
- 학습법 #집중력
- input
- createtextnode
- createElement
- FOR
- const
- htmlFor
- boolean
- Let
- Today
- Total
Atomic Habits
리눅스 인코딩 설정(영구/임시) - 한글깨짐 본문
1. 일시적으로 변경
1) 현재 적용중인 언어 확인
locale
2) 현재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locale 목록 확인
locale -a | grep ko
echo $LANG -> en_US.UTF-8 (기존)
3) 현재 세션에서 변경 (한글 → 영어)
LANG=ko_KR.euckr
2. 영구적으로 변경
- 설정 파일에서 수정
- CentOS 7 이상
vi /etc/locale.conf - CentOS 6
vi /etc/sysconfig/i18n
- CentOS 7 이상
- 기존 내용을 주석처리 후 character set 작성
vi /etc/sysconfig/i18n
LANG="ko_KR.euckr" # 사용할 인코딩만 남기고 나머지 주석
#LANG="ko_KR.UTF-8"
#LANG="en_US.UTF-8
#SUPPORTED="en_US.UTF-8:en_US:en:ko_KR.UTF-8:ko_KR:ko"
vi ⁄etc⁄profile
export LC_ALL="ko_KR.euckr"
export LANG="ko_KR.euckr"
변경 후에 source 명령으로 /etc/sysconfig/i18n 파일과 /etc/profile 파일을 적용해 주면 됩니다.
source ⁄etc⁄sysconfig⁄i18n
source ⁄etc⁄profile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/etc/sysconfig/i18n 리눅스 UTF-8 언어 설정(EUCKR 포함)
안녕하세요. 리눅스 설치 후 콘솔작업 할때에는 문제가 없으나, SSH접속프로그램인 Putty 나 SecurCRT 등을 사용할때에 화면 및 한글깨짐으로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(한글설정 이 되
soul.tistory.com
리눅스 설치 후 콘솔작업 할때에는 문제가 없으나, SSH접속프로그램인 Putty 나 SecurCRT 등을 사용할때에
화면 및 한글깨짐으로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(한글설정 이 되지않아 불편할 때가 많죠.)
또한 일본식 한자나 한문 같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표현해 주지 못할 경우에 UTF-8 유니코드 가 사용됩니다.
UTF-8 은 가변길이 인자 인코딩 방식으로 1비트부터 4비트까지 가변적으로 바뀌기에 모든 외국어 및 한글을
표현하기에 시스템의 언어설정은 UTF-8로 하시길 권장드립니다.
(EUC-KR 의 경우 8비트 인코딩 방식으로 한글만 표현하기에는 적합합니다.)
그럼 우선 시스템에 UTF-8 설정하는 방법입니다.
아래의 방법처럼 /etc/sysconfig/i18n 이 파일에 UTF-8 관련 내용을 추가합니다.
/etc/sysconfig/i18n 파일이 리눅스의 언어설정 파일입니다.(한글설정 포함)
vi 편집기로 /etc/sysconfig/i18n 파일을 수정해줍니다.
개발된 웹소스의 언어 설정에 따라 맞는 설정을 사용하시면 될듯합니다. vi 로 리눅스 Shell 상에서 보기 위해서 입니다.
보통 UTF-8 로 저장된 문서를 시스템의 LANG 설정이 맞지 않으면 꺠져서 보이기에 Shell 에서 작업할때에
알아보기가 힘듭니다..
#UTF-8 설정 시
vi ⁄etc⁄sysconfig⁄i18n
LANG="ko_KR.UTF-8"
SUPPORTED="en_US.UTF-8:en_US:en:ko_KR.UTF-8:ko_KR:ko"
SYSFONT="latarcyrheb-sun16"
SYSFONTACM="8859-15"
vi ⁄etc⁄profile
export LC_ALL="ko_KR.UTF-8"
export LANG="ko_KR.UTF-8"
#EUC-KR 설정 시
LANG="ko_KR.EUC-KR"
SUPPORTED="en_US.UTF-8:en_US:en:ko_KR.UTF-8:ko_KR:ko"
SYSFONT="latarcyrheb-sun16"
위처럼 작업 후 쉘에서 source 명령으로 /etc/sysconfig/i18n 파일과 /etc/profile 파일을 적용해 주면 됩니다.
source ⁄etc⁄sysconfig⁄i18n
source ⁄etc⁄profile
마지막으로 어떤파일은 euckr 로 저장이 되고, 어떤파일은 utf8 로 저장이 되었을때 iconv 로 변환해서 보면 되지만
일일이 작업하려면 매우 번거롭습니다..
그럴 경우 SSH 로 접속한 계정의 홈디렉토리 아래에 .vimrc 파일을 생성 후 vi 옵션을 설정해 주면
utf8 과 euckr 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
cd ~
vi .vimrc
#아래내용 추가
set ts=4
set fileencodings=utf-8,euc-kr
추가 후 재 로그인 하면 로그인 시 .vimrc 파일을 불러오면서 적용이 됩니다.
출처: https://soul.tistory.com/53 [▒ 생각한 대로 살지 않으면 살아온 대로 생각하게 될 것이다. ▒:티스토리]
'IT > Linux-Vi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] 계정 비번 변경 / 재변경 최소일 / 만료일 설정 (0) | 2022.11.10 |
---|---|
알집(AlZip)으로 tar.gz 풀기 (1) | 2022.09.21 |
리눅스 find 명령어 사용법. (Linux find command) - 리눅스 파일 검색. (0) | 2022.08.12 |
VI 전체선택 / 복사 / 삭제 - 행의 시작/끝 이동 (0) | 2022.08.12 |
리눅스 확장 명령어(grep, find) 사용 방법 (0) | 2022.08.10 |